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
제목, 작성일, 첨부파일, 작성내용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초소형위성체계 개발 본격화
작성일 2023.02.09
첨부파일

정부는 초소형위성체계*효율적·체계적개발을 위하여 참여부처, 발기관, 소요기관 간 추진계획공유하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회의29() 대전에서 개최하였다.


< 초소형위성체계개발 사업 개요 >




○ (사업목표)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신속한 감시와 국가 안보대응력 강화를 위한 초소형위성체계 개발·운영

○ (사업규모) ’22 ~ ’30/ 14,223억원

○ (참여부처) 국방부(방사청), 과기정통부, 해양경찰청, 국가정보원


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 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, 총괄연구기관은 국방과학연구소가 당하고국내 다수연구기관업체들도 연구과정에 참여하게 된다.

    * 한국항공우주연구원, 전자통신연구원, 국가보안기술연구소


초소형위성체계는 다수의 영상레이더(SAR*)위성, 전자광학(EO**)위성과 지상체로 구성운영되며, 신속히
획득된 위성 영상정보로 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사항 감시 및 해양 안보 치안재난 위협의
대비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.

    * SAR : Synthetic Aperture Radar / ** EO : Electro Optic


초소형위성체계는 2023년 상반기 중 복수의 영상레이더(SAR) 검증위성 업체를 선정하고, 2026년 후반기에 검증위성을 발사하여 성능을 검증한 후 2028년부터 다수의 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다.


소형위성체계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향후, 북 핵 위협 및 한반도 주변해역의 위기사항에 대한 신속한 영상정보 획득이 가능하고, 다수의 위성발 및 생산에 국내 우주기업들이 참여함으로써 우주관련 핵심기술 확보
및 우주산업 육성 등의 기틀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.


※ 더 나은 민원행정 서비스를 위해 민원 답변에 대한 만족도 표시를 부탁드립니다.
의견쓰기

평가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