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
제목, 작성일, 첨부파일, 작성내용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22-36 국방기술기획서 발간
작성일 2022.04.18
첨부파일

□ 방위사업청(청장 강은호)은「'19-'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」에서 제시된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핵심기술 확보계획과 미래 첨단무기체계 핵심기술 개발전략을 제시하는 ?'22-'36 국방기술기획서?를 발간했다.

    *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 : ① 자율·인공지능 기반 감시정찰, ② 초연결 지능형 지휘통제, ③ 초고속·고위력 정밀타격, ④ 미래형 추진 및 스텔스 기반 플랫폼, ⑤ 유·무인 복합 전투수행, ⑥ 첨단기술 기반 개인 전투체계, ⑦ 사이버 능동 대응 및 미래형 방호, ⑧ 미래형 첨단 신기술


□ 올 해에는 「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」(이하‘국방과학기술혁신법’) 시행에 따라 기존‘핵심기술기획서’의 국방 핵심기술 사업은 물론 민군기술협력 사업과 미래도전국방기술 사업을 포함하여 ‘국방기술기획서’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발간된다.


□ 방위사업청은 국방과학기술혁신법에 따라 발간된 국방기술기획서에

 ㅇ 기술수준조사와 미래무기체계 예측조사·분석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기술수준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, 8대 분야에서 도출된 140개 기술별 핵심기술 확보전략을 국방기술로드맵으로 수립하였으며,

 ㅇ 기존 기획대상 무기체계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당해 연도 기획대상 무기체계만 수록하던 방식에서 탈피, 기존에 분석된 무기체계 뿐만 아니라, 신규 기획대상 무기체계를 분석하여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도 선보였다.

 ㅇ 또한, 국방기술혁신협의체*를 활용하여 무기체계 적용성 강화를 위해 단위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기술들을 묶음단위로 기획한 무기체계 패키지형 핵심기술 기획연구 결과 21건이 반영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.

    * 핵심기술 과제기획과 개방형 국방 연구개발 추진을 위해 무기체계(방산업체), 신기술(정출연), 기초연구(학계) 3개 그룹 총 187명('21.10.기준)으로 구성된 협의체('21. 4월 구성)

 ㅇ 핵심기술기획서가 국방기술기획서로 변경됨에 따라 기존 국방 핵심기술 과제 정보에 민군기술협력 및 미래도전국방기술 과제 정보가 추가되어, 국방기술기획서에 반영된 국방기술과제는 '22년도 예산이 반영된 신규/계속 과제를 포함하여 총 892건이 수록되었다.


□ 방위사업청 이영빈(고위공무원) 국방기술보호국장은“산학연 참여 활성화 정책과 무기체계 국내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사업 예산의 대폭 증액이 반영된 국방기술기획서 발간으로 민간부문의 국방과학기술 참여율을 높여 혁신적인 첨단기술 개발로 이어지길 기대한다.”라고 밝혔다.


□ 국방기술진흥연구소(소장 임영일)는 확정된 '22-'36 국방기술기획서?를 토대로 우수한 민간기술을 적극적으로 유입하기 위하여 산학연이 기술기획 단계부터 추후 산학연 참여 가능과제를 사전에 식별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일반본을 작성하여 배포한다.  


□ 기존에 공개된 과제 개요·예산·기간 이외에 연구항목을 추가하여 정보 공개 범위를 확대하여 작성된「'22-'36 국방기술기획서(일반본)」은, 국방기술진흥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, 산학연을 포함한 관련 기관에 배부할 예정이다. .끝.


※ 더 나은 민원행정 서비스를 위해 민원 답변에 대한 만족도 표시를 부탁드립니다.
의견쓰기

평가하기